본문 바로가기
40~50대 알면 좋은 생활정보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 추진, 왜 중요할까요?

by 궁금해59 2025. 5. 15.
반응형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국민연금-기초연금 연계 감액 한눈에 정리)

블로그 Tip
블로그 Tip

목차

  1. “일하면 깎인다?” 100세 시대, 달라진 흐름
  2. 노령연금·기초연금, 개념부터 정리
  3. 노령연금 감액제도 ① – “재직자 감액”
  4. 노령연금 감액제도 ② – “국민연금-기초연금 연계 감액”
  5. 왜 폐지·완화가 필요할까?
  6. 이재명 후보 공약 핵심
  7. 시나리오별 수급 예시
  8. 마무리 – 투표 전 꼭 챙길 체크리스트

1. “일하면 깎인다?” 100세 시대, 달라진 흐름

앞으로 있을 6월 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각 당이 노후 공약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이 가운데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를 약속하며 ‘일하는 어르신을 응원하는 연금’으로 바꾸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연금 감액’ 문제는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도 완화 논의가 있었다가 멈춘 쟁점이어서 더욱 주목받습니다.


2. 노령연금·기초연금, 개념부터 정리

구분수급 조건2025년 최대 월액비고
노령연금(국민연금) 국민연금 10년 이상 가입 개인별 산정 국민연금의 대표 급여
기초연금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342,510원 국민연금과 별도 지급
 

Tip. 두 연금은 제도·재원·지급 기준이 전혀 다릅니다.


3. 노령연금 감액제도 ① – “재직자 감액”

  • 대상 : 노령연금 수급 개시 후에도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65세 이상
  • 감액 기준 : 2025년 합산 소득이 309만 원을 넘으면 최대 5년간 50% 삭감
  • 문제점
    1. 고령자 경제활동을 억제 → ‘일하면 손해’ 인식 확산
    2. 대상자 급증 (2014년 12만 명 → 2025년 11만 명 상반기 돌파)
    3. OECD 38개국 중 한국·일본·그리스·스페인만 시행

4. 노령연금 감액제도 ② – “국민연금-기초연금 연계 감액”

  • 기준 :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 기준액(342,510원의 150% = 513,760원)을 초과하면
  • 감액 폭 : 초과 금액에 비례해 기초연금 최대 171,250원 삭감
  • 영향 : 2025년 감액 대상 70만 명 돌파, 월평균 9만 원 감소
  • 비판 내용
    • 국민연금 장기가입자일수록 기초연금 손해 → ‘성실 납부’ 동기 약화
    • 계산식 복잡, 제도 이해도 낮음

5. 폐지·완화가 필요한 이유는?

  1. 100세 시대 소득 공백 해소 – 은퇴 후에도 일하는 고령자가 급증
  2. 국제 기준 부합 – OECD “연금-소득 이중벌칙 완화” 권고
  3. 연금 신뢰 회복 – 감액 공포 ↓ → 국민연금 장기가입 유도
  4. 소비 진작·지역경제 활성화 – 어르신 실질 소득 증가 효과 기대

6. 이재명 후보 공약 핵심

분야공약 내용기대 효과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전면 폐지 일하는 어르신 소득 보존
국민연금-기초연금 연계 감액 단계적 완화 국민연금 장기가입 유인
부부 기초연금 감액(20%) 단계적 축소 부부 합산 소득 보전
간병비 공공부담 확대 사회·국가 공동부담 ‘간병 파산’ 위험 완화
 

7. 시나리오별 수급 예시

  • 현재 제도
    • 국민연금 800,000원 + 기초연금 342,510원 → 75,000원 감액
    • 실수령 1,067,510원
  • 연계 감액 폐지 시
    • 국민연금 800,000원 + 기초연금 342,510원 전액
    • 실수령 1,142,510원 (월 +75,000원, 연 +90만 원)

8. 마무리 – 투표 전 꼭 챙길 체크리스트

  1. 내 연금 현황 파악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가입기간 조회
    •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 확인
  2. 후보별 연금 공약 비교
    • 감액제도 폐지·완화 수준
    • 재정 확보·구체적 로드맵 존재 여부
  3. 장기가입·추가납입 전략 검토
    • 감액 폐지 시 장기가입자 혜택 ↑

 

마무리하며

“노령연금 감액제도 폐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시대적 과제입니다. 여야를 막론하고 ‘일해도 손해 보지 않는 연금’으로 개편돼야 100세 시대에 걸맞은 노후소득 보장이 가능하겠죠. 6월 3일, 각 후보의 연금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현명한 한 표를 행사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